칼럼 겨울철 혈행 순환 건강 관리
겨울철 혈행 순환 건강 관리
오메가3와 은행잎 추출물의 역할
겨울철이 다가오면 차가운 날씨와 함께 혈액순환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기온이 낮아지면 혈관이 수축해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며, 이는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위험을 초래한다. 특히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 다양한 혈액순환 질환의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는 겨울철에는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혈관 강화를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오메가3와 은행잎추출물은 이러한 심혈관 건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쌀쌀한 바람이 부는 이맘때 건강한 혈행관리를 위해 우리가 특별히 주목해야 하는 영양소들이다.
1. 혈행 개선에 도움을 주는 오메가3의 EPA와 DHA
먼저 오메가3는 EPA(에이코산펜타에노산)와 DHA(도코사헥산에노산)로 이루어져 있으며, 흔히 알려진 것과 같이 심혈관 건강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오메가3를 이루는 EPA가 혈중 중성지방 감소와 혈액 점도 개선에 도움을 주어 혈액을 원활하게 흐르도록 도우며, DHA는 세포막 안정화와 뇌 기능 개선에 기여해 혈행 개선은 물론 전반적인 신경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실제 일반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EPA 및 DHA 함유 유지를 1일 0.5~2g씩 매일 14일에서 12주 동안 섭취하였을 때 혈행 개선과 관련된 내피세포 의존 혈관 확장, 상완동맥 지름, 혈류량은 유의하게 증가하고,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임을 뜻하는 수출기 혈압, 응고인자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3)
오메가3는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만성염증을 줄여 면역력 증진과 전반적인 건강을 개선하는 것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4), 이러한 다양한 건강 효과 덕분에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권장되는 영양소 중 하나이다.
실제 일반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EPA 및 DHA 함유 유지를 1일 0.5~2g씩 매일 14일에서 12주 동안 섭취하였을 때 혈행 개선과 관련된 내피세포 의존 혈관 확장, 상완동맥 지름, 혈류량은 유의하게 증가하고,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임을 뜻하는 수출기 혈압, 응고인자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3)
오메가3는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만성염증을 줄여 면역력 증진과 전반적인 건강을 개선하는 것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4), 이러한 다양한 건강 효과 덕분에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권장되는 영양소 중 하나이다.

2. 오메가3 종류와 섭취 대상자
오메가3는 우리 몸에 필수적인 영양소지만, 아쉽게도 체내에서는 자연적으로 합성되지 않는 영양소이기 때문에 외부 섭취를 통해 지속적인 보충이 필요하다. 외부에서 오메가3를 섭취하기 위해서는 등푸른 생선(연어, 고등어, 정어리)을 통해 섭취하는 방법이 있으나, 바쁜 현대인의 경우 일상 식단만으로는 필요한 양의 오메가3를 충분히 얻기 어렵기 때문에, 영양제로 오메가3를 꾸준히 섭취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지속적으로 오메가3를 보충하기 위해서는 시중에 많은 제품 중 어떠한 제품을 구매해야 할까?
오메가3 제품을 선택할 때는 먼저 EPA와 DHA 함량을 확인하여, 본인의 건강 상태나 필요에 맞게 함량이 적절한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정제 과정에서 중금속 및 불순물 검사를 철저히 거친 안전한 제품인지, 그리고 흡수율이 높은지 등을 확인해 보는 것도 제품을 구매할 때 중요한 포인트이다.
오메가3 제품은 크게 TG형 rTG형 타입으로 나누어진다. TG 형태 오메가3 제품은 천연 상태로 존재하는 오메가3 지방산을 사용한 제품으로, 일상적인 건강 유지를 원하는 소비자나 자연에 가까운 오메가3 형태를 장기적으로 꾸준히 섭취하고 싶은 소비자들이 섭취하기 좋은 제품이다. 만약 집중적인 혈중 중성지방 개선이 필요하여 고농도의 오메가3 처방이 필요한 소비자가 있다면, rTG 형태의 오메가3 제품을 섭취하는 것을 추천한다. rTG 오메가3의 경우 TG 형태와 유사하지만, 정제된 형태로 지방산을 안정화하여 체내 흡수율을 높여 효율적으로 오메가3를 섭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비건을 지향하거나 냄새에 민감한 어린이 또는 임산부 및 수유부에게는 동물성 오메가3보다 어취가 낮은 식물성 오메가3를 섭취하는 것을 추천한다.
오메가3 제품을 선택할 때는 먼저 EPA와 DHA 함량을 확인하여, 본인의 건강 상태나 필요에 맞게 함량이 적절한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정제 과정에서 중금속 및 불순물 검사를 철저히 거친 안전한 제품인지, 그리고 흡수율이 높은지 등을 확인해 보는 것도 제품을 구매할 때 중요한 포인트이다.
오메가3 제품은 크게 TG형 rTG형 타입으로 나누어진다. TG 형태 오메가3 제품은 천연 상태로 존재하는 오메가3 지방산을 사용한 제품으로, 일상적인 건강 유지를 원하는 소비자나 자연에 가까운 오메가3 형태를 장기적으로 꾸준히 섭취하고 싶은 소비자들이 섭취하기 좋은 제품이다. 만약 집중적인 혈중 중성지방 개선이 필요하여 고농도의 오메가3 처방이 필요한 소비자가 있다면, rTG 형태의 오메가3 제품을 섭취하는 것을 추천한다. rTG 오메가3의 경우 TG 형태와 유사하지만, 정제된 형태로 지방산을 안정화하여 체내 흡수율을 높여 효율적으로 오메가3를 섭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비건을 지향하거나 냄새에 민감한 어린이 또는 임산부 및 수유부에게는 동물성 오메가3보다 어취가 낮은 식물성 오메가3를 섭취하는 것을 추천한다.

3. 오메가3와 함께 섭취하면 좋은 은행잎추출물
은행잎추출물은 오메가3와 함께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며, 함께 섭취할 시 혈행 건강에 강력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성분이다. 혈액의 점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오메가3와는 다르게 은행잎추출물은 혈관을 확장하고 혈소판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여 혈액이 체내에서 원활하게 흐르도록 돕고, 특히 말초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데 영향을 준다. 따라서 겨울철처럼 혈관이 수축되기 쉬운 계절에는 오메가3와 은행잎추출물을 함께 섭취함으로써 고혈압, 동맥 경화와 같은 혈관 질환을 대비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애터미 징코앤낫토 제품은 이러한 은행잎추출물과 나토균 배양물이 함께 들어 있어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동시에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으로, 앞서 소개한 오메가3와 함께 섭취할 것을 추천한다.
애터미 징코앤낫토 제품은 이러한 은행잎추출물과 나토균 배양물이 함께 들어 있어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동시에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으로, 앞서 소개한 오메가3와 함께 섭취할 것을 추천한다.

류효빈
연구원
現) 콜마비앤에이치(주) 식품과학연구소
[참고문헌]
1) Mann NJ et al. Effects of seal oil and tuna-fish oil on platelet parameters and plasma lipid levels in healthy subjects. Lipids. 45(8), 669-81 (2010)
2) Rizza S et al. Fish oil supplementation improves endothelial function in normoglycemic offspring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therosclerosis. 206(2), 569-74 (2009)
3) Fahs CA et al. The effect of acute fish-oil supplementation on endothelial function and arterial stiffness following a high-fat meal. Appl Physiol Nutri Metab. 35(3),294-302(2010)
4) 김우기, 오메가-3 지방산의 시장현황 및 항염증작용 연구현황, 한국식품과학회, 46(4), 30-33 (2016)
1) Mann NJ et al. Effects of seal oil and tuna-fish oil on platelet parameters and plasma lipid levels in healthy subjects. Lipids. 45(8), 669-81 (2010)
2) Rizza S et al. Fish oil supplementation improves endothelial function in normoglycemic offspring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therosclerosis. 206(2), 569-74 (2009)
3) Fahs CA et al. The effect of acute fish-oil supplementation on endothelial function and arterial stiffness following a high-fat meal. Appl Physiol Nutri Metab. 35(3),294-302(2010)
4) 김우기, 오메가-3 지방산의 시장현황 및 항염증작용 연구현황, 한국식품과학회, 46(4), 30-33 (2016)